프랑스 문인협회(SGDL) 청소년 문학상, 생텍쥐페리상, 유토피알 유럽 청소년 문학상을 수상한 마리 파블렌코의 신작 《리타》가 출간되었다. 이 책은 “충격적이고, 감동적이며, 잊을 수 없는 책” “날것의 진실과 시적 언어를 결합시키고, 어둠과 빛을 절묘하게 뒤섞어 빚어낸다”는 극찬과 함께 세계 문단의 열렬한 지지를 받고 있다. 그의 작품 속에는 ‘변화’ ‘타인과의 관계’ ‘자연과의 연결’이라는 주제가 선명하게 드러난다. 여성의 권리와 자연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바탕으로 사회의 가장자리에 선, 연약하지만 고집 있고 회복력 있는 인물들을 그려 내며 전 세계 독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전해 주는 작가이기도 하다. 그는 이번 작품에서 이전보다 더욱 깊고 예리해진 시선으로, 중심에서 비껴난 청소년들의 삶과 분투를 다룬다.
아버지의 자살, 극심한 빈곤과 차별, 학폭과 가족 내 정서적 학대…. 리타의 세계는 완벽하게 불행하다. 리타의 아버지는 무고하게 감옥에 갇혔다가 자살하고, 어머니는 생의 의지를 잃어버리고 세 자녀를 양육해야 한다는 사실조차 잊은 듯하다. 학교에서는 범죄자 딸이라는 낙인이 찍혀 배제와 괴롭힘을 당하고, 이웃과 친척에게는 가차없이 손절을 당했으며, 사회의 안전장치는 리타의 가족에게 작동하지 않았다. 리타는 졸지에 무기력한 어머니와 쌍둥이 여동생을 돌보며 가장 역할을 하게 된다. 리타는 조용히, 그러나 빠르게 어른이 되어야 했다. 도무지 삶을 이어 갈 방법이 보이지 않던 어느 날, 리타는 열지 말았어야 할 문을 열게 되는데….
리타의 아픔을 누구보다 깊이 이해한 건 알코올중독 아버지와 살아가는 소년 비고다. 두 사람은 무너져 가는 서로를 일으키고, 상처를 보듬으며 사랑과 연대를 쌓아 가고, 살아갈 힘을 낸다. 그리고 리타 곁에 있어 주었던 친구들과 유일하게 어른으로서의 역할을 했던 파티아는 한 사람을 일으키는 것은 큰 힘이 아니라 사소한 다정함임을 보여 준다. 이 소설은 빈곤, 가족 붕괴, 사회적 낙인, 젠더, 성폭력, 혐오와 차별 등의 주제를 깊이 있고 조심스레 다루면서, 독자들에게 수용과 연대의 본질, 진정한 관계 맺기와 돌봄, 자신이 믿는 가치대로 살아가는 삶이 무엇인지에 대해 날카로운 질문을 던진다.